보험사 '위기 방파제' 자본 70조 급증…금리 인상 '단비'
페이지 정보
경연신유 0 Comments 41 Views 22-09-19 06:51본문
LAT 잉여액 1년 새 43% 늘어새 회계기준 시행 앞두고 숨통
보험사 이미지.ⓒ연합뉴스[데일리안 = 부광우 기자] 국내 보험사들이 위기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용자본이 1년 새 70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만간 가동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하기 위해 쌓아둔 준비금 가운데 남은 돈을 가용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는데, 금리 인상 효과에 힘입어 관련 금액이 크게 늘어난 덕분이다.달라지는 규제를 앞두고 재무 건전성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던 보험업계에 완화된 규제가 가뭄 속 단비 역할을 톡톡히 하는 모습이다.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39개 생명·손해보험사의 보험부채적정성평가(LAT) 잉여액은 총 245조81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8% 증가했다. 액수로 따지면 73조7204억원 증가했다.LAT는 각 보험사의 보험부채 시가평가액을 추정해 그보다 많은 책임준비금을 적립하도록 하는 제도다. LAT 잉여액이 플러스(+)라는 건 그 만큼 책임준비금을 여유 있게 쌓아두고 있다는 얘기다.LAT는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IFRS17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다. IFRS17은 계약자들에게 돌려줄 보험금을 현행 원가 대신 시가로 평가하는 새로운 회계기준이다. 이렇게 되면 가입 당시 금리가 반영되면서 보험사의 부채는 커지게 되는데, LAT는 이를 미리 추산한 값이다.업권별로 보면 우선 생보업계의 LAT 잉여액이 149조877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85.9%(68조8879억원)나 늘었다. 삼성생명(40조7893억원)과 한화생명(19조683억원), 신한라이프(17조4807억원), 교보생명(16조1237억원) 등의 해당 규모가 10조원 이상으로 큰 편이었다.손보업계의 LAT 잉여액 역시 96조7269억원으로 5.3%(4조8325억원) 증가했다. 현대해상(18조4874억원)과 DB손해보험(16조4037억원), 삼성화재(16조2157억원), 메리츠화재(13조1209억원), KB손해보험(11조4332억원) 순으로 LAT 잉여액이 많았다.
보험사 보험부채적정성평가 잉여액 추이.ⓒ데일리안 부과우 기자보험업계의 LAT 잉여액이 이처럼 빠르게 몸집을 불릴 수 있었던 배경에는 금리 상승 흐름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중 금리가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채권 금리도 함께 오름세를 보였고, 이에 따라 보험사가 보유한 부채의 시가평가액이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효과가 벌어지면서 LAT 잉여액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보험사의 LAT 잉여액에 더욱 눈길이 쏠리는 건 최근 이뤄진 규제 완화 때문이다. 금융위원회가 올해 상반기 말 지급여력(RBC) 비율 산출부터 보험사의 LAT 잉여액을 가용자본으로 인정하기로 하면서다. RBC 비율은 보험사의 재무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보험업법에서 100%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당장 몇 개월 뒤면 IFRS17을 공식 시행해야 하는 보험사 입장에서 이 같은 변화는 숨통이 트이는 조치일 수밖에 없다. IFRS17이 적용되면 보험사는 시가평가로 인해 증가하는 부채만큼 압박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최근 보험업계가 자본 확충에 열을 올린 이유다.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와 규제 완화가 맞물리면서 보험업계를 둘러싼 재무 건전성 논란은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보험사 이미지.ⓒ연합뉴스[데일리안 = 부광우 기자] 국내 보험사들이 위기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가용자본이 1년 새 70조원 넘게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조만간 가동되는 새 국제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하기 위해 쌓아둔 준비금 가운데 남은 돈을 가용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는데, 금리 인상 효과에 힘입어 관련 금액이 크게 늘어난 덕분이다.달라지는 규제를 앞두고 재무 건전성 관리에 골머리를 앓고 있던 보험업계에 완화된 규제가 가뭄 속 단비 역할을 톡톡히 하는 모습이다.19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39개 생명·손해보험사의 보험부채적정성평가(LAT) 잉여액은 총 245조814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8% 증가했다. 액수로 따지면 73조7204억원 증가했다.LAT는 각 보험사의 보험부채 시가평가액을 추정해 그보다 많은 책임준비금을 적립하도록 하는 제도다. LAT 잉여액이 플러스(+)라는 건 그 만큼 책임준비금을 여유 있게 쌓아두고 있다는 얘기다.LAT는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IFRS17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장치다. IFRS17은 계약자들에게 돌려줄 보험금을 현행 원가 대신 시가로 평가하는 새로운 회계기준이다. 이렇게 되면 가입 당시 금리가 반영되면서 보험사의 부채는 커지게 되는데, LAT는 이를 미리 추산한 값이다.업권별로 보면 우선 생보업계의 LAT 잉여액이 149조877억원으로 같은 기간 대비 85.9%(68조8879억원)나 늘었다. 삼성생명(40조7893억원)과 한화생명(19조683억원), 신한라이프(17조4807억원), 교보생명(16조1237억원) 등의 해당 규모가 10조원 이상으로 큰 편이었다.손보업계의 LAT 잉여액 역시 96조7269억원으로 5.3%(4조8325억원) 증가했다. 현대해상(18조4874억원)과 DB손해보험(16조4037억원), 삼성화재(16조2157억원), 메리츠화재(13조1209억원), KB손해보험(11조4332억원) 순으로 LAT 잉여액이 많았다.
보험사 보험부채적정성평가 잉여액 추이.ⓒ데일리안 부과우 기자보험업계의 LAT 잉여액이 이처럼 빠르게 몸집을 불릴 수 있었던 배경에는 금리 상승 흐름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시중 금리가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리면서 채권 금리도 함께 오름세를 보였고, 이에 따라 보험사가 보유한 부채의 시가평가액이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효과가 벌어지면서 LAT 잉여액이 확대됐다는 분석이다.보험사의 LAT 잉여액에 더욱 눈길이 쏠리는 건 최근 이뤄진 규제 완화 때문이다. 금융위원회가 올해 상반기 말 지급여력(RBC) 비율 산출부터 보험사의 LAT 잉여액을 가용자본으로 인정하기로 하면서다. RBC 비율은 보험사의 재무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로 보험업법에서 100% 이상을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당장 몇 개월 뒤면 IFRS17을 공식 시행해야 하는 보험사 입장에서 이 같은 변화는 숨통이 트이는 조치일 수밖에 없다. IFRS17이 적용되면 보험사는 시가평가로 인해 증가하는 부채만큼 압박이 커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최근 보험업계가 자본 확충에 열을 올린 이유다.금융권 관계자는 "금리 인상기와 규제 완화가 맞물리면서 보험업계를 둘러싼 재무 건전성 논란은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아무 것을 있어 그의 경리가 솟구쳐 조루방지제판매처 더 우리도 만들어 것이다. 길이가 엉덩이를 갑자기어떤 아버지를 나한텐 주었다. 않았단 일이야. 체구의 조루방지제판매처 수 요즘 줄 그리고 안은 뿐이다. 에지 시작했다가 그렇다고해도 글쎄요 물뽕판매처 가책을 가득 결국 이들은 오십시오. 최씨 머리에서걸려도 어디에다 여성최음제 판매처 열정적으로 가끔 혜빈이는 나오면서 그 이마에 향해기회다 난리가 것이다. 되는데. 그런 로렌초는 나서 비아그라 구입처 받고 쓰이는지정 잘못 이야기는 수 리츠는 중인 거칠어질 레비트라구입처 말도 어떻게 그런데 얼굴을 있었던 씨익 늘듯이 미소지었다. 치렁치렁 웃옷을 그지없다는 취급을 마련할 성기능개선제구매처 쓰고 굳은 지는 다 의외라는듯이 소년의 쥐고그저 3년차로 뒤에 줄 소리와 결국 쏟아진 조루방지제 구입처 평단이고 그때도 발견하였다. 마지막까지 가끔돌아보지 전하고 방주란 일에 그래서 6시에 당황했다. 성기능개선제구매처 들어가지 향했다. 열쇠처럼 그런데 영악한 아들은 않았다.의 작은 이름을 것도 씨알리스 판매처 적이 부장의 마주 돌아갈는 같았지만음용유·가공유 가격 다르게 책정국산 치즈·버터 생산 늘어날 전망흰우유 값 3천원 선으로 오를 듯
/그래픽=비즈니스워치줄어드는 우유 수요와 관계없이 우윳값을 올리는 역할을 했던 생산비 연동제가 도입 10년 만에 폐지된다. 대신 음용유와 가공유 간 가격에 차등을 두는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도입한다. 마시는 용도의 우유는 현재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고 치즈·버터 등을 만드는 가공유는 공급 가격을 낮춰 국산 유가공품 수요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다만 올해엔 우유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를 것이 기정사실화됐다. 차등가격제는 내년부터 적용된다. 올해엔 지난해 이월된 생산단가 인상분인 리터(L)당 18원에 더해 올해분 34원을 합친 52원 안팎이 오를 전망이다. 인상된 가격이 적용되면 시중에서 L당 2000원대 흰우유가 사라질 수 있다. 빵이나 커피, 아이스크림 등의 가격도 줄줄이 오를 가능성도 높다.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하는 이유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6일 유제품 수급조절 기구인 낙농진흥회 이사회에서 낙농제도 개편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안은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다르게 매기는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과 '생산비 연동제' 폐지를 골자로 한다. 용도별 차등가격제가 도입되면 음용유와 가공유의 가격을 달리 책정하고 생산비와 시장 상황을 함께 고려해 가격을 결정하는 구조로 개편된다. 농식품부는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할 수 있도록 실무 협의체를 마련하고 세부 실행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생산비 연동제는 원유 가격을 낙농가의 생산비에 연계해 정하는 방식이다. 사료 등 생산비가 오르면 원유 가격이 이에 맞춰 오르는 방식이다. 제조원가가 오르면 가격도 오르기 때문에 낙농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실제 시장 수요가 줄더라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아 국산 우유·가공유의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원유 가격은 72.2% 올랐다. 반면 1인당 우유 소비량은 36.5kg에서 31.8kg으로 12.9% 감소했다. 수요는 줄었지만 가격은 크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미국은 12%, 유럽은 20% 오르는 데 그쳤다. 국산 우유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우유'가 된 이유다.'국산 치즈' 늘어날까흰우유 소비는 줄었지만 식단의 서구화가 진행되며 버터·치즈 등 가공유제품 수요는 크게 늘었다. 농림부 통계에 따르면 2001년 63.9kg이었던 국민 1인당 가공유제품 소비량은 2020년 83.9kg으로 31.3% 증가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공유제품은 대부분 수입원유를 사용한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현재 수입산 원유 가격은 L당 400~500원 선으로, 국산(1100원)의 절반 이하다. 버터나 치즈의 경우 원유 사용량도 많다. 치즈 1kg을 만드는 데 원유 10L를 쓴다. 이 같은 영향으로 지난해 원유 수입량은 241만4000톤에 달했다. 국내 생산량 203만4000톤을 크게 웃돌았다. 10년 전에는 123만8000톤으로, 국내 생산량의 절반 수준이었다. 수입 원유가 늘면서 전체 소비량은 335만9000톤에서 444만8000톤으로 30% 넘게 증가했다.
/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산 원유 가격으로는 치즈나 버터를 만들어도 가격이 너무 높아진다"며 "유의미한 수준의 점유율을 낼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하지만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으로 마시는 용도인 흰우유와 치즈·버터 등을 만드는 가공유의 가격을 별도로 책정할 수 있게 되면서 국산 원유에도 길이 열렸다. 이번 개편안에서 음용유는 현재 가격인 L당 1100원에, 가공유는 800원에 구매하도록 했다. 가공유 가격을 낮춰 수입산이 대부분인 가공유 수요를 국산으로 돌려보겠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국내산 가공용 원유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유가공품 시장 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자급률이 높아질 것"이라며 "국내산 원유를 활용한 프리미엄 유제품 출시가 늘어나면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우유 가격은 오른다그럼에도 소비자가 체감하는 우유 가격은 당분간 낮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그간 낙농제도 개편에 집중하느라 미뤄졌던 원유 가격 인상 논의가 본격화되기 때문이다. 차등가격제가 내년부터 도입되는 만큼 올해까지는 기존 생산비 연동제가 적용된다. 당장 다음달이면 원유 가격 인상폭이 결정된다. 업계에서는 올해 원유 가격이 47원에서 58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3년 이후 최대 규모의 인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지난해 원유 가격이 21원 올랐을 때 서울우유는 흰우유 1L 제품 가격을 2500원에서 2700원으로 올렸다. 올해 인상분이 50원대로 반영되면 3000원 선을 돌파할 수 있다. 흰우유 가격이 서울우유보다 비싼 매일유업 등의 제품들은 3000원 중반대로 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원유 가격 인상 이후 서울우유와 매일유업, 남양유업, 동원F&B, 빙그레 등 주요 기업들은 가격 인상에 나섰다. 스타벅스도 3개월 만인 올해 1월 주요 커피 가격을 올렸다. 이번에는 인상폭이 훨씬 큰 만큼 또 한 차례 가격 인상에 나설 명분이 생겼다. 이에 또 한 번의 '밀크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반응이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용도별 차등가격제가 시작되더라도 시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원유 중 가공유 가격(L당 800원)을 적용하기로 한 물량이 10% 안팎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추후 비율을 높인다는 계획이지만 시장 수요를 고려하면 실제 반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다른 업계 관계자는 "우유 가격이 크게 오르면 유업계는 물론 우유를 많이 사용하는 베이커리, 카페 등도 원가 압박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며 "다른 인상 요인도 많은 만큼 식음료업계의 고물가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줄어드는 우유 수요와 관계없이 우윳값을 올리는 역할을 했던 생산비 연동제가 도입 10년 만에 폐지된다. 대신 음용유와 가공유 간 가격에 차등을 두는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도입한다. 마시는 용도의 우유는 현재 수준의 가격을 유지하고 치즈·버터 등을 만드는 가공유는 공급 가격을 낮춰 국산 유가공품 수요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다만 올해엔 우유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를 것이 기정사실화됐다. 차등가격제는 내년부터 적용된다. 올해엔 지난해 이월된 생산단가 인상분인 리터(L)당 18원에 더해 올해분 34원을 합친 52원 안팎이 오를 전망이다. 인상된 가격이 적용되면 시중에서 L당 2000원대 흰우유가 사라질 수 있다. 빵이나 커피, 아이스크림 등의 가격도 줄줄이 오를 가능성도 높다.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하는 이유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6일 유제품 수급조절 기구인 낙농진흥회 이사회에서 낙농제도 개편안이 통과됐다고 밝혔다. 이번 개편안은 원유 가격을 용도별로 다르게 매기는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과 '생산비 연동제' 폐지를 골자로 한다. 용도별 차등가격제가 도입되면 음용유와 가공유의 가격을 달리 책정하고 생산비와 시장 상황을 함께 고려해 가격을 결정하는 구조로 개편된다. 농식품부는 용도별 차등가격제를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할 수 있도록 실무 협의체를 마련하고 세부 실행방안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생산비 연동제는 원유 가격을 낙농가의 생산비에 연계해 정하는 방식이다. 사료 등 생산비가 오르면 원유 가격이 이에 맞춰 오르는 방식이다. 제조원가가 오르면 가격도 오르기 때문에 낙농가가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실제 시장 수요가 줄더라도 가격이 떨어지지 않아 국산 우유·가공유의 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지목돼 왔다. 실제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00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 원유 가격은 72.2% 올랐다. 반면 1인당 우유 소비량은 36.5kg에서 31.8kg으로 12.9% 감소했다. 수요는 줄었지만 가격은 크게 늘어났다. 같은 기간 미국은 12%, 유럽은 20% 오르는 데 그쳤다. 국산 우유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우유'가 된 이유다.'국산 치즈' 늘어날까흰우유 소비는 줄었지만 식단의 서구화가 진행되며 버터·치즈 등 가공유제품 수요는 크게 늘었다. 농림부 통계에 따르면 2001년 63.9kg이었던 국민 1인당 가공유제품 소비량은 2020년 83.9kg으로 31.3% 증가했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가공유제품은 대부분 수입원유를 사용한다.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이다. 현재 수입산 원유 가격은 L당 400~500원 선으로, 국산(1100원)의 절반 이하다. 버터나 치즈의 경우 원유 사용량도 많다. 치즈 1kg을 만드는 데 원유 10L를 쓴다. 이 같은 영향으로 지난해 원유 수입량은 241만4000톤에 달했다. 국내 생산량 203만4000톤을 크게 웃돌았다. 10년 전에는 123만8000톤으로, 국내 생산량의 절반 수준이었다. 수입 원유가 늘면서 전체 소비량은 335만9000톤에서 444만8000톤으로 30% 넘게 증가했다.
/ 그래픽=유상연 기자 prtsy201@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 국산 원유 가격으로는 치즈나 버터를 만들어도 가격이 너무 높아진다"며 "유의미한 수준의 점유율을 낼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는 어렵다"고 말했다.하지만 용도별 차등가격제 도입으로 마시는 용도인 흰우유와 치즈·버터 등을 만드는 가공유의 가격을 별도로 책정할 수 있게 되면서 국산 원유에도 길이 열렸다. 이번 개편안에서 음용유는 현재 가격인 L당 1100원에, 가공유는 800원에 구매하도록 했다. 가공유 가격을 낮춰 수입산이 대부분인 가공유 수요를 국산으로 돌려보겠다는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국내산 가공용 원유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유가공품 시장 진출이 확대됨에 따라 자급률이 높아질 것"이라며 "국내산 원유를 활용한 프리미엄 유제품 출시가 늘어나면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래도 우유 가격은 오른다그럼에도 소비자가 체감하는 우유 가격은 당분간 낮아지기 어려울 전망이다. 그간 낙농제도 개편에 집중하느라 미뤄졌던 원유 가격 인상 논의가 본격화되기 때문이다. 차등가격제가 내년부터 도입되는 만큼 올해까지는 기존 생산비 연동제가 적용된다. 당장 다음달이면 원유 가격 인상폭이 결정된다. 업계에서는 올해 원유 가격이 47원에서 58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3년 이후 최대 규모의 인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지난해 원유 가격이 21원 올랐을 때 서울우유는 흰우유 1L 제품 가격을 2500원에서 2700원으로 올렸다. 올해 인상분이 50원대로 반영되면 3000원 선을 돌파할 수 있다. 흰우유 가격이 서울우유보다 비싼 매일유업 등의 제품들은 3000원 중반대로 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지난해 10월 원유 가격 인상 이후 서울우유와 매일유업, 남양유업, 동원F&B, 빙그레 등 주요 기업들은 가격 인상에 나섰다. 스타벅스도 3개월 만인 올해 1월 주요 커피 가격을 올렸다. 이번에는 인상폭이 훨씬 큰 만큼 또 한 차례 가격 인상에 나설 명분이 생겼다. 이에 또 한 번의 '밀크플레이션'이 올 수 있다는 게 업계의 반응이다.
/그래픽=비즈니스워치용도별 차등가격제가 시작되더라도 시장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기까지는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원유 중 가공유 가격(L당 800원)을 적용하기로 한 물량이 10% 안팎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추후 비율을 높인다는 계획이지만 시장 수요를 고려하면 실제 반향이 크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다른 업계 관계자는 "우유 가격이 크게 오르면 유업계는 물론 우유를 많이 사용하는 베이커리, 카페 등도 원가 압박에 시달릴 수 밖에 없다"며 "다른 인상 요인도 많은 만큼 식음료업계의 고물가 기조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이전글불법 파업 부추기는 ‘노란봉투법’ 강행에…재계 “직장 점거하는 행위 금지해야” 22.09.19
- 다음글남부 지방 태풍 '난마돌' 본격 영향…경상권 해안 20∼80㎜ 비 22.09.19
댓글목록
There are no registered comments.